세계여행정보: 아르메니아(armenia)

세계여행정보

아르메니아(armenia)에 대한 여행 정보, 추천 일정, 주의사항, 지도 등 종합 정보를 제공합니다.

아르메니아(Armenia) 프랑스와 스페인 사이, 점 찍어 놓은 듯 위치한 나라 안도라는 일부러 찾지 않으면 전혀 눈에 띄지 않는 곳이다. 그러나 이 미소한 나라가 위치한 피레네산지는 많은 스키어들이 선호하는 곳이고, 건기에는 도심의 북적 임에서 벗어나 하이킹하기에 그지없이 좋은 장소를 제공한다. 이곳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의 관심사는 이 나라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관심보다는 면세쇼핑을 하기 위한 이유가 단연 압도적일 것이다 통계 자료 국명 : 안도라 공국 (Principality of Andorra) principality 면적 : 450 sq km (175 sq mi) 인구 : 64,000 명 수도 : 안도라 라 베야( Andorra la Vella (인구 22,000명) 인종 : 스페인인 61%, 안도라인 30%, 프랑스인 6% 언어 : 카탈로니아어, 서반아어, 불어 종교 : 로마 카톨릭 정체 : 공동 의회 공국 (Parliamentary co-princedom) 지리 및 기후 피레네 남부경사면에 위치한 안도라는 남북 25km, 동서 30km의 작은 나라이다. 지리상, 프랑스와스페인 사이 국경지대에 끼여 있으며, 뚤루즈(Toulouse)에서 약 180km, 바르셀로나(Barcelona)에서 225km, 니스(Nice)에서 465 km, 마드리드에서 855km (530mi), 그리고 빠리(Paris)에서 885km 떨어져 있다. 안도라의 40여개 중소 마을(몇 십명이 거주하는 곳을 포함) 대다수는 산악계곡지대에 위치해 있다. 안도라 북서쪽 스페인 국경지대에 있는 Pic de Coma Pedrosa가 이 곳의 최고봉(2942m)이며, 남서부 스페인 국경인 La Farga de Moles가 가장 낮은 838m 이다.안도라는 온난한 기후로, 겨울에는 눈이 오고 여름은 따뜻하다. 산봉우리는 7월까지 눈이 쌓여 있을 때도 있다. 역사 안도라는 803년 샤를마뉴가 이슬람인으로부터 이 지역을 장악하기까지 독립되 있었다고 전한다. 안도라에 관해 처음으로 기술된 증거는 843년 사를마뉴의 손자인 Charles II세가 스페인 La Seu d'Urgell의 백작인 Sunifred에게 Valls d'Andorra (Valleys of Andorra)를 넘겨준다는 것이었다. 안도라의 첫 법률문서인 Paretages(공동 지배법령)는 1278년과 1288 사이에 기초되었는데, 이는 두 나라 영주의 권한을 두고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스페인의 Urgell 주교와 프랑스의 Foix 백작의 합의에서 만들어졌다. 이 두 사람에 의한 합의문이 오늘날까지 안도라 정부의 기본형태로 유지되었고, 아직도 효력을 발휘하는 가장 오래된 문서로 남아있다. 이 합의문은 또한 특이한 안도라의 정치 균형을 이루었으며 두 강대국 사이에서 안도라를 지킬 수 있었던 이유가 되기도 한다. Foix백작의 후손인 프랑스는 프랑스 혁명 후 한 때 모든 영지권을 폐지할 뿐만 아니라, 안도라에서 프랑스 주권국의 역할을 폐지하기도 했는데, 이것은 스페인의 지배권을 두려워한 안도라의 요구에 의해 1806년 나폴레옹에 의해 다시 복귀되었다.현재 안도라가 면세쇼핑으로 유명해지게 된 데는, 스페인 내전 때 스페인에게 프랑스물건을, 2차대 전 때는 프랑스에 스페인 물건을 중개하는 밀수업에서 기인한 것이다. 안도라는 세계대전 시 중립을 지켜왔다.1993년 3월 안도라는, 안도라인에 의한 전적인 통치를 하며 민주 의회 공동주권으로서의 독립국을 설립하기 위한 투표를 단행했다. 비록 프랑스와 스페인의 공동 주권은 유지하지만 많은 권한은 약화시킨 채로. 경제 국내 총생산 GDP : US$12억 1인당 국민 총생산 GNP : US$18,000 주요 산업: 관광, 면세 쇼핑, 양, 우표, 담배, 은행업 주요 교역국: 프랑스, 스페인 문화 1950년대까지 안도라 인구는 6000여명을 웃돌았다. 그러나 오늘날은 그 4분의 1정도가 안도라 국민일 뿐이다-그 중 3분의 2가 안도라 라베야와 근교에 살고 있다. 나머지는 주로 스페인과 프랑스, 포르투갈인들이다. 공식어는 카탈란어로, 프로방스어와 매우 비슷한 로망스어이며 카스틸랴와 프랑스어에 기원을 두고 있다. 보통 안도라에서는 카탈란어, 스페인어, 프랑스어가 모두 사용된다고 하나, 대부분 사람들은 10개이상의 프랑스어를 알기가 힘들고, 영어는 더욱 통용되지 않는다.안도라 음식은 주로 카탈란식인데 프랑스와 이탈리아 영향을 많이 받았다. 쏘스가 곁들여지는 육류와 생선요리, 그리고 파스타가 일반적이다. 현지음식으로는 cunillo(토마토 쏘스가 곁들여지는 토끼요리), xai (구운 양고기), trinxat (베이컨과 감자, 양배추요리), escudella (닭고기, 쏘세지, 미트볼 스튜) 등이 있다 축제 및 행사 많은 도시와 마을에서는 문화적 전통을 경축하며 음악과 춤, 와인, 축제가 있는 페스티발들이 열리는데, 대부분 7월과 9월 사이에 행해진다. Andorra la Vella의 3일 축제는 8월의 첫 토요일부터 시작된다. 성모마리아를 기리는 국경일인 Mare de Deu de Meritxell은 9월8일로, Andorra la Vella 북동쪽 7km에 있는 Meritxell까지 순례행렬이 이어진다. 여행자 정보 비자 : 없음 보건위생 : 특이사항 없음 시차 : 세계표준시보다 1시간 빠름(한국이 안도라보다 7시간 빠르다) 전압 : 125V 또는 220V, 50Hz 도량형 : 미터제 (도량형 환산표 참조(영문)) 경비 및 환전 통화 :프랑스 프랑(FF)과 스페인 페세타(pta) 일반경비 저렴한 숙소 : US$1 중급 호텔 : US$5-10 고급 호텔 : US$50 이상 저렴한 현지 식사 : US$2.50-5 중간가격대의 레스토랑 식사 : US$10-20 최고급 레스토랑 식사 : US$20 이상 아르메니아는 싸게 여행할 수 있는데 조금 인색하게 군다면 하루에 US$20-25면 가능하다. 교회와 유적들을 돌아보는데도 큰돈이 안 든다. 하지만 편안한 여행을 원한다면 하루에 US$50는 필요하고 예레반에는 세계적인 수준의 가격인 호텔도 여러 개 있다. 환전은 서유럽에 비해 불편한데 환전소와 현금인출기가 많이 없다. 달러와 여행자 수표는 예레반의 Arm-econobank나 시장 거래소에서 적당한 가격으로 환전을 할 수 있다. 소련의 붕괴로 인해 루블화는 더 이상 가치가 없다. 가격흥정은 일반적인 것이 아니며 좋아하지도 않는다. 서비스에 대한 10%의 팁을 권한다. 여행 시기 가을(9월-10월)이 여행하기 가장 좋은 시기이며 성수기가 없어 숙박시설을 구하기 위해 여행자들과 경쟁할 필요가 없다. 겨울의 추운 날씨를 원하지 않는다면 5월에서 10월까지가 적당하며, 아르메니아의 스키 리조트는 유럽에 비해 저렴하고 훌륭한 시설을 갖고 있어 스키를 타려면 1-2월이 적당하다. 주요 여행지 예레반(Yerevan) 20개 이상의 박물관이 있는 예레반은 세계에서 오랜된 정착지 중의 하나로 삼면이 언덕으로 둘러 쌓여 있으며 동북부에서 남서부의 아라랏 산으로 완만하게 경사져있다. 중심 도로는 거대한 공화국 광장(Republic Sqare, 한때 레닌 동상이 있어 레닌 광장으로 불리움)으로 향한다. 공화국 광장에는 역사 박물관, 중앙 우체국, 호텔 아르메니아와 수많은 상점과 미드랜드 아르메니아(Midland Armenia), 미랏(Milat)같은 외국 은행이 위치하고 있다. 신년 축제 같은 행사나 기념일에는 행사와축제를 즐기려는 사람들로 공화국 광장이 복잡하고, 독립 기념일에는 군대 행진이 펼쳐진다. 주요 거리인 울리차 아보비아나(Ulitsa Abovyana)와 울리차 마쉬톳스(Ulitsa Machtots)에 중요한 시설들이 위치하고 있다. 반원의 풍치지구는 동쪽 끝에 위치하는데 인상적인 기념관, 빌딩, 동상들이 거리를 우화하게 만드는데 조로아스터교인 페르시아를 물리친 아르메니아 기독교 군의 바단 마미코냔(Vardan Mamikonyan)의 거대한 기마 상, 아르메니아의 서사적인 영광의 상징인 에레부니 박물관(Erebuni Museum), 1915년 터키의 대학살로 피해를 당한 백 5천만명을 추모하기 위한 아르메니아 학살 기념관이 위치하고 있다. 1937년 건축 디자인 대상을 받은 화려한 오페라 하우스는 현재 아르메니아 교향악단의 카차투리안 홀(Khachaturian Hall)로 쓰이고 있고, 소련의 잔인한 건축학교였던 코미타스 실내악 연주장(Komitas Chamber Music Hall)은 현재 가장 훌륭한 공연장으로 코미타스 4중주단의 연주장으로 쓰이고 있는데 코미타스는 민속음악을 녹음하고 전통을 보존하는데 공헌한 작곡자 겸 성직자의 이름에서 유래됐다. 마텐다다란(Matendadaran)은 9세기부터 쓰여진 만 2천여점의 아르메니아 원문, 채식 사본, 책과 원고를 연구하는 곳으로 아르메니아 문화의 보고이다. 예레반의 호텔은 많지 않지만 중심에 위치해 찾기 쉽고, 소련의 붕괴로 인해 경제가 악화됐으며 작은 게스트 하우스와 펜션이 수도에 들어서고 있다. 페르시아 방식으로 사람을 만나거나 거리를 서성대거나 차나 음식을 즐길수 있는 예레반의 거리 카페는 쉽게 찾을 수 있으며 영어 메뉴가 있는 곳도 있다. 에쉬미아드진(Echmiadzin?) 아르메니아의 두 번째로 큰 도시로 기원전 340년부터 184년까지 아르메니아의 수도였다. 아르메니아인에게 신성한 도시로 티리다테(Tiridates) 3세가 기원전 400년 이곳에서 기독교로 개종 한 곳으로 성모마리아를 돌로 사형한 후 정신이상을 일으켰으나 기독교인 죄수인 그레고리(Gregory)의 구원으로 개종했다. 에쉬미아드진은 정교도 성당의 가장 중요한 도시로 한때 이교도의 숭배지였으나 현재는 아르메니아 정교도 교회의 수장이 거주하고 있다.성 흐립시메 교회(St Hripsime Church)는 618년에 재건설한 교회로 원래는 성 흐립시메가 죽은 곳에 세워진 예배당이었다. 가장 아름다운 건물로 평가받는 성 그레고리 교회(Church of St Gregory)는 641-61년에 건설되어졌으나 10세기의 지진으로 파괴되어 유적만이 남아있으며 예레반의 아르메니아 역사 박물관에서 원래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예레반의 버스역에서 서쪽 20km 지점에 아쉬미드진이 위치한다. 아쉬타락(Ashtarak) 아쉬타락은 5-6세기의 치라나보(오렌지)교회(Tsiranavor Church)와 7세기의 카름라보(붉은) 교회(Karmravor Church)가 남아있고, 아르메니아의 가장 높은 산인 아라갓 산의 2,300m 고지에 11-13세기의 암버드 성 (Amberd fort)과 교회가 있다. 아쉬트락-타린(Ashtarak-Talin) 국도에서 6km 떨어진 뷰라칸(Byurakan)은 기상대가 위치한다. 아쉬타락은 예라반에서 북쪽으로 22km 떨어져 있으며 버스로 이동이 가능하다. 아타샷(Artashat) 코 비란 수도원(The Khor Viran Monestery)와 초기 아르메니아 수도의 유적이 남아있는 아타샷은 계몽자 그레고리가 수감된 수도원이 있고 기원전 2세기의 수도였다. 현재 발굴중인 기원전 340년 경의 수도였던 드빈(Dvin)이 인접하고 있다. 예라반에서 버스가 운행되며 남쪽으로 30km 떨어져있다. 세반(Sevan) 트랜스코카시아에서 가장 큰 호수인 세반 호숫가에 위치한 작은 마을로 호수는 해발 1,900m에 위치하고 있으며, 크기는 1,360 sq km로 구 소련 아르메니아의 5%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수력발전과 관개용수로 라즈단 강(Razdan River)이 이용되면서 420 sq km로 크기가 감소됐다. 하지만 호수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2,000년 이상 된 성, 가옥, 문화유물이 출토됐으며 일부 고고학적인 발견품들은 예레반의 아르메니아 역사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다. 9세기의 수도원이었던 두 개의 교회가 세반 반도(원래는 섬이었다.)에 있고, 구 소련이 1980년대 건설한 호수의 남부와 아파(Arpa) 강을 잇는 산악 터널로 인해 물이 라즈단 강으로 유입된다. 예레반에서 북동쪽으로 50km 떨어져 있으며 에레반-초바규흐(Yerevan-Tsovagyukh) 노선의 기차가 하루가 3회 세반으로 운행된다. 잘 알려지지 않은 여행지 디리잔(Dilizhan) 고산도시인 디리잔은 아르메니아의 광천수 공급원이며, 주도로인 울리차 먀스니카나(Ulitsa Myasnikyana)에있는 박물관은 방문 할 만하다. 가구와 카펫 공장은 쇼핑하기에 좋고 좁은 골짜기를 사이에 두고 있는 13세기의 수도원(마토사반크Matosavank와 듀흐탁반크Djukhtavank)을 구경할 수 있다. 과장된 표현이기는 하지만 아르메니아인들은 천국이 디리잔처럼 생겼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나무와 온천이 있는 매우 아름다운 산악지역이다.아가친(Agartsin) 계곡과 아가친 수도원은 가을에 방문해 볼만한 곳으로 중세시대 아르메니아 문화의 중심으로 중요한 역할을 했었고 아르메니아 건축 양식의 걸작이다. 스파를 즐길 수 있는 아즈니(Arzni)가 인접하고 있다. 디리잔은 2,114m에 위치하고 있으며 120km 에레반으로부터 떨어져 있고 버스로 이동이 가능하다. 아라버디(Alaverdi) 아르메니아 동북부의 데베드(Debed)계곡에 위치한 구리 광산마을로 세 개의 고대 기독교 유적지가 아라버디 주변에 위치하고 있다. 사나인(Sanain) 수도원의 가장 중요한 작품인 아메납르키치(Amenaprkich) 교회가 남서쪽으로 몇 킬로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고 6세기의 오드준(Odzun) 교회와 중세의 묘지가 아라버디에서 17km 떨어진 사나인의 서쪽에 있다. 10-13세기에 건설된 악흐팟(Akhpak) 수도원은 아라버디의 동쪽으로 11km 떨어져있다. 트빌시시(Tbilisi)의 왕실 시인이었던 현재도 인기가 있는 러브송을 부른 18세기의 음유시인인 사얏-노바(Sayat-Nova)가 망명한 곳이도하다. 아라버디로 가는 가장 좋은 방법은 113km 떨어진 조지아의 트빌리시(Tbilisi) 출발하는 것으로 예레반보다 2개 가까이 가깝다. 하지만 기차로 트빌리시에서 하루 투어를 하기는 불가능하다. 레저스포츠 예술가 협회에서 운영하는 예술 투어를 참여할 수 있고, 건축과 도시 디자인에 관심이 있다면 예레반 건축 협회가 주관하는 투어를 참여해도 된다. 동굴탐험가와 활동적인 사람을 위해서는 아르메니아 동굴학 협회에서 주관하는 등산, 동굴 탐험 투어는 환상적인 경관을 따라 초보자를 위한 쉬운 코스부터 한달 짜리 힘든 지형을 등산하는 코스가 있다. 싸이클링도 해 볼만 하지만 자전거를 가지고 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하지만 아르메니아의 수많은 종교적 건축물들을 천천히 전부 돌아 볼 수 있다. 아르메니아로 가는 길 베를린 장벽과 소련이 붕괘 되기 전에는 모스크바에서 비행기로 아르메니아로 입국하는 게 가장 보편적인 방법이었지만, 현재는 입국장소가 여러 곳으로 늘어났다. 여전히 모스크바에서 비행기를 타거나 이틀 반이 걸리는 기차를 타고 올 수 있다. 시간이 많은 여행자들은 터키의 카스(Kars)에서 아쿠랸(Akhuryan)으로 기차로 입국이 가능하지만 현재 양국의 국경은 폐쇄돼 있다. 소련으로부터 독립한 후 아르메니아와 터키의 외교관계는 호전됐으나 부분적인 면에서는 여전히 안 좋은 사이다. 아제르바이잔에서 아르메니아로 입국은 불가능하지만 이란과의 국경은 개방돼있다. 국내 교통편 버스가 신뢰할만한 교통수단으로 기차가 운행되지 않는 지역까지 운행되고 있다. 경제 봉쇄로 인해 유가가 상승해 교통은 불편하다. 차를 빌려 여행하는 건 아르메니아를 여행하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가난한 국가에서 쉽게 접하는 어린이들과 가축들을 피할 수 있다.